
IDC
KT-ICC (목동1센터) 100G 백본을 이용한 최상의 이중화 구축 환경국내,외 1위 회선 품질을 자랑하는 코로케이션
24시간 1:1 전담(PM) 엔지니어를 통한 즉각적인 기술 지원
시스원 siIDC
KT의 IDC 시설을 활용한 V_IDC 사업체, 시스템 구축 및 운영관리 등 고객 맞춤형 통합 IT 서비스 제공

KT 목동 ICC
UPS 무정전 전원 공급 항온ㆍ항습 시설 센터 자체 대용량 네트워크 물리적 보안시설2001년 3월 부터 IDC 서비스 시작
서비스 규모 ( 고객사 300여개 / 총 Rack 400여개 )
1 센터 : KT 목동 ICC (380 Rack) 2 센터 : 역삼 세종텔레콤 IDC (10 Rack) 3 센터 : KT 분당 ICC (10 Rack)층별 사용 현황

건물개요
-
위치
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
924-4 (목동로 233-5) -
개관일
2008년 05년 23일 -
건축규모
지하 4층 ~ 지상 12층 -
건축면적
건면적 3,911.34 m2(1,183 평)
연면적 63,840.45 m2(19,312 평) -
서버실 크기
총 6,210평
(지상 2층 ~ 10충, 각 층당 660평) -
용도구조
공공용 시설 (통신시설) /
철골 철근 콘크리트 구조 -
주차대수
총 371대 (지상 4대 + 지하 367대),
장애인 14대 포함 -
엘리베이터
인승용 7식 (비상용 2대 포함),
화물용 1식 (3ton) -
건축물 높이
지상 69m
siIDC 만의 장점

서비스
-
- 철저한 예방정비 서비스
-
- 1센터 : KT목동 ICC ( 380 Rack ) - 2센터 : 역삼 세종텔레콤 IDC ( 10 Rack ) - 3센터 : KT분당 ICC ( 10 Rack )
-
- 신속한 장애처리 및 재발방지 활동
-
- 2001년 3월부터 IDC 서비스 시작
-
- 전문엔지니어 기술지원
-
- 40여년간 축적해온 IT최고의 전문기술력으로 OneStop - 전산시스템 구축에서 운영관리 서비스 제공 - 고객별 전담 엔지니어 배정, 분야별 전문 엔지니어의 지원
-
- 제품 패치/업그레이드 및 품질 개선
-
- 24시간 365일 모니터링 시스템 지원
siIDC 네트워크 구성도

siIDC 네트워크 분배도

IDC 네트워크 구조
IDC 백본 네트워크 구성도

목동IDC 백본 네트워크 특징
-
01
IDC내부 전구간 이중화 구성
(이중 환형 광전송망 구성, 가용성 최대) -
02
확장성이 뛰어난 테라 라우터 및 기가 스위치 사용
(요구 즉시 신속하게 확장 가능) -
03
50% 이상 여유율을 보유, 50% 하회 시 즉시 증설
(국내 최대 유보율) -
04
사외 연동가능한 다양한 네트워크 광단국 보유
(L/L, F/R, ATM, VPN 등) -
05
IDC 백본단에 국내 최 정상급의
PMS 연동으로 유해트래픽 관리 -
06
고객 시스템의 효과적인 케이블 배선 및
배치를 지원하기 위해 상부트래이 방식 제공
목동 KT IDC 입지
-
위치
서울 양천구 목동동로 233-5 KT-ICC 12층 -
카카오 지도
역삼세종 IDC 2센터
-
위치
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137 현대해상강남사옥 7층 -
카카오 지도
분당KT IDC 3센터
-
위치
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925번길 36 -
카카오 지도
입지 상황 분석 | 소 방 : 양천소방서가 바로 인접 위치 (170m) 방 범 : 양천 파출소 약 180m 인근 거리 통 신 : KT 강서 지사 인근 위치 (2Km) 휴 식 : 오목시민공원 인근(약 50m) 위험 시설 : 최단 주유소 500m 외곽 이격 기타 위험시설 없음 | 접근 체계 분석 |
경인, 서해안 고속도로의 분기점 인근지역
올림픽 대로를 통하여 서울 강북 강남을 비롯한 수도권 전 지역 접근 용이 지하철5호선(오목교역)에서 도보 10분거리 |
---|
IDC 설계 및 구축 사례
항목 | 구축 내용 | 비고 |
---|---|---|
일반사항 | 1. 내진 설계 : 특 등급 적용 2. 기준 층고 : 4,800mm 3. 바닥 하중 : 용도별 구조 역학상 계산된 적재 하중치 적용 4. 구조형식 : SRC(철골 철근 콘크리트 구조) |
- 데이터센터 전용 건물 (서울권 대형 IDC중 유일,건물로 식당, 매점, 타업무용 사무실 부재) |
서버실 | 1. 층 고 : 4,800mm 2. 천정고 : 바닥 600mm + 서버실 2,800mm 3. 바닥하중 : 1,000Kg/㎡ 4. 이중마루 적재하중 : 적재하중 800Kg/㎡ 5. 이중마루 높이 : 600mm 6. 내부 방화성 : 내화벽 2시간 이상 | - 서버실 전체 면적: 6,210평 - 물리적으로 서버실 독립구조(9개층, 각 A, B실로 격실 처리) - 고객별 Cage 분리 - 각실별 방수/난연성 우수 설계 |
1. 데이터 특성에 맞춘 관련실의 유기적인 배치 및 장비 동선 고려 (전력실 및 통신실의 이중화, 서버실내 기둥 배제) 2. 에너지 절약 및 공간의 쾌적성 추구 (사무공간, 후생공간 등) |
- 기능별, 업무별 독립 및 확장 가능 구조설계시 확장성 고려 - 각 고객OP룸, 회의실, 교육장, 임시 작업실 완비 | |
공통사항 | 1. 충분한 주차 공간 확보 2. 전산장비 전용 화물 반입구 설치 및 하치장 분리 3. 서버실과 다른 영역과의 출입동선 분리 4. 엘리베이터의 용도 구분 (전산장비 전용 화물엘리베이터 확보) |
전력 설비 현황
- 데이터센터 특징
-
-
- 365일 무중단 운영 가능한 이중화 전원 공급 Back-up 대책 수립
- 전산장비는 소형화되나 부하용량의 지속적인 증가로 충분한 용량 확보
-
- 무중단 운영에 따른 활선 상태 에서의 유지보수 위험성 대비
- 서버 및 UPS의 고조파로 인한 전력 품질 저하에 대한 장애대책 수립
-
- 전력량의 Peak값이 거의 변경 없는 건물로서 에너지 절약 방안 수립
- 내진, 진동, 낙뢰 등의 각종 장애 대책 수립
-
- 설계방향설정
-
-
- 수변전 설비 이중화로 완벽한 Back-up
- 수전용량 100% 공급용 비상발전원 확보
- 선진사례 조사에 의한 용량 상향 적용
- 부하 증가에 대한 UPS 증설대책 수립
- 서버실 증가 시 장비 증설 공간 확보
-
- 인입에서 서버까지 이중화 간선 구성
- 단일전원 서버는 무순단 STS 설치
- By-Pass 내장 ATS에 의한 교체 가능
- 전력현황 감시시스템 설치로 신속한 대응
-
- 저소음 고효율 K-Factor 몰드 변압기
- 위치인식시스템과 연동한 조명제어
- 스토퍼 등 내진 고려한 장비 지지
- 진동 대비한 옥외 발전원이실 별도 배치
- IEC 규격의 뇌보호 및 접지 시스템 구성
-
구분 | 주안점 | 적용내용 |
---|---|---|
수변 전 | - 무중단 전원 공급 체계 구축(Back-up 대책 수립) | - 수변전 시스템 이중화 구성 : 무중단 운영 가능 - 전산장비용 UPS 부하와 기타 부하용 분리 구성 |
예비전원 | - N+1 UPS 설치(대당 500KVA) - 가스터빈 발전원 설치 ( 4800KW x 3Ea) - D-UPS(2,200KVA x 3Ea, 3,000kw x 4Ea) | - 층별 UPS 구성 : 유지관리 편리성, 사고범위 축소 - 부하증가 대비한 UPS Bank에 1대 추가 증설가능한 구성 - N+1 구성 : 전체부하 공급, UPS와 기타 부하분리 구성 |
전력간선 | - 전산부하 간선 이중화(서버 및 항온기 등) | - 전산시설 부하의 전력간선 이중화 구성으로 무중단 관리 |
유지보수 | - 수배전반 이중화 분리 구성 - 전력현황 감시 시스템 | - 유지관리 안전성 확보 - Digital Meter에 의한 전력현황 및 온도 감시 |
IDC 설계 및 구축 사례
- 전원 계통도
-
접지형태 보안접지(Rack, 케이블트레이, 배/분전반, Access floor 등)와 통신접지
-
수전 이중화
일반선로가 아닌 IDC만을 위한 전용선로 구성 한국전력으로부터 고객서버 까지 모두 이원화 이중화 구축 대규모 수전용량 : 40,000kW(총 전력량) -
UPS 이중화
서버용 480Kw× 70대 (예비 4대) 이중화 및 렬(3조이상) 운전 배터리 Back up Time (40분) -
STS
UPS 장애시 STS 에서 4ms 이내에 절체되어
다른 UPS의 전원공급 800A * 42 대 -
발전설비
발전설비 및 용량, 4,800Kw* 3대 (5시간),
D-UPS 2200kva*3대, 3,000Kw * 4대 ALTS설치
IDC 출입 보안

항목 | 구축내용 |
---|---|
일반사항 | 1. 보안 구역별 보안통제 지역 구분(3단계 구분) 2. 보안시스템의 무정전 전원 공급 구성 및 통합보안관리서버 이중화 구성 : 2N 3. 통합보안감시 시스템 설치 : 방재센터 및 상황실(또는 경비실) 4. 고객사 Cage 설치 및 시건장치 구성 |
출입통제 설비 | 1. 주요실 출입구 : 이중화된 인식장치 설치 (생체인식+출입카드) 2. 건물 주 출입구 : 스피드게이트 + 카드리더 3. 주차장 출입구 : 부스 및 카드리더 설치 4. 건물 층간 이동 E/L : 카드리더 설치 5. 지하주차장~ 1층간 : 방문자 전용 E/L설치 |
CCTV 설비 | 1. 서버실 내부, 복도 : 카메라 2. 건물출입구, 안내데스크, 로비, E/L홀, 발전원이실, UPS실, 전원이실 :카메라(고정형) 3. 건물외곽, 주차장 : 카메라 4. 주요지점에 CCTV녹화 및 녹화율 : 3개월 , 20frame/sec 이상, 원격 감시 기능 제공 |